살기

보메1~5

우두망찰 2008. 3. 31. 12:58

 

 

 

 

 

 

 

 

 

<밤>

 

 

 

 

 

 

 

 

 

 

 

 

 

 

식탁에 앉아 마주하는 창밖 풍경이 왠지 휑하다.

얼마 전까지 어깨를 겨루고 있던 아름드리 은사시나무를 모두 베어버렸기 때문

한때 나도 저 나무가 무슨 소용에 닿을까? 가치를 따진 적이 있었다.

특히나 봄철 솜뭉치 같은 씨앗이 날릴 때라던가

태풍에 국도변 나무들이 맥없이 즐비하게 쓰러져있는 경우

또는 아무런 특색없이 칙칙하게 시들다 떨어져 버리는 단풍 같지도 않은 가을잎을 볼 때도.

 

우선 녹화가 시급했던 시절에야 빨리 자라고 한 덩치 했으니 우선 보기 그럴싸했겠으나 

한숨 돌리고 보니 목재로도, 화목으로도, 열매로도 도통 쓰임새 찾기가 애매하기도 했으리라.

허나, 어찌 이 나무를 두고 실용이란 인간의 한시적 잣대기준만 가지고 가치를 말하리. 

우선 이 나무는 사시나무과로 바람이 불 때 팔랑이는 잎새 소리가 듣기에 좋다.

다음은 봄 새잎 날 때 그 유록빛 잎새와 몰 오른 몸통의 신선함이 좋다. 

다음, 잎 지고 가을부터 한겨울 내 무채색 대지에 하얗게 들어내는 이국적 나신이 참 보기좋다.

그리고 다 생각 나름이더라.

 

먼저 봄철 꽃가루는 사실 민감 체질 알레르기 유발물질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한다.

실제 봄철 알레르기 천식을 일으키는 꽃가루는 눈에 잘 보이지도 않는 미세한 꽃가루, 화분이고

얘들처럼 솜뭉치 같은 것은 보기만 그렇지 사람에 해가 되는 꽃가루는 날리지 않는다 한다.

(실제 이 종류의 나무들은 거개가 이미 다 개화하고 낙화까지 되었다.

수정: 숫꽃?만 졌는지 암수모둔지 지긴졌는데 과문해 정확치 않다. )

 

 

마지막으로 야들의  군집, 군락의 위용이다.

실제로 올해 올림픽이 열리는 중국 수도 베이징은 시 외곽 몇 십 키로까지 사막이 뻗어와

수도를 옮겨야 할지 말아야할지 심각한 고민 중이라는데~

그 방패막으로서의 첨병 역활을 이 나무에게 맡기고 있다. 

그래서 그 평원의 끝없이 도열해있는 이 나무, 방사림의 위용을 볼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도심 속으로도 흘러들어와 도시의 중요 배경, 가로수로도 전혀 어색하지 않게 (이방인의 눈으로는 경이롭게)

이 유서깊은 고도와 어우러져 랜드스케이프를 훌륭히 완성하고 있다.


어쨌거나

저 눔들이 저 나무를 다 자르고 저 자리에다 무슨 짓을 해 놓았지?

가보니, 현란한 속 고쟁이 색을 사시사철  내보이는 성냥개비 같은 개량?

단풍나무 몇 개비 꼽아놓고 어쩌고 저쩌고 ~

선전 입간판은 요란하더라만

 

(자작이면 모를까) 나라 갱제가 얼마나 어려운데 안즉도 정신 못차리고

하릴없는 돈 잔치, 지x들을 하고 있으니......      

 

 

 

 

 

 

 

 

 

 

 

 

 

 

 

 

 

 

비오는 밤.  술 한잔 앞에 두고

 

 

 

 

 

 

 

 

 

 

 

 

 

 

 

 

 

 

 

 

 

 

<촉>

화살나무 

 

 

 

 

 

 

 

 

 

 

 

 

 

 

 

 

 

 

 

 

 

 

 

 

 

 

 

꼬마전구를 매단 크리스마스 트리처럼

오만촉광 생명 

 

 

 

 

 

 

 

 

 

 

 

 

 

 

 

 

 

 

 

 

 

 

 

 

 

 

 

 

 

 

 

 

 

 

 

 

 

 

 

 

 

 

 

 

 

 

 

 

 

 

 

 

 

 

 

 

 

 

 

 

 

 

 

 

 

<雨>

목까지 차오른 슬픔 

 

 

 

 

 

 

 

 

 

 

 

 

 

 

 

 

 

 

 

 

 

 

 

 

 

 

 

 

 

 

 

 

 

 

 

 

 

 

 

 

 

 

 

 

 

 

 

 

 

 

 

 

 

 

 

 

 

 

 

 

 

 

 

 

 

 

 

 

 

 

 

 

 

 

 

 

강가엔 쑥이 돋았다. 

 

 

 

 

 

 

 

 

 

 

 

 

 

 

 

 

 

 

 

 

 

 

 

 

 

 

 

 

 

 

 

 

 

 

 

 

<花> 

 

 

 

 

 

 

 

 

 

 

 

 

 

 

 

 

 

 

 

 

 

 

 

 

 

 

 

 

 

 

 

 

 

 

 

 

 

 

 

 

 

 

 

 

 

 

 

 

 

 

 

 

 

 

 

 

 

 

 

 

 

 

 

 

 

 

 

 

 

 

 

 

 

 

 

 

 

 

 

 

 

 

 

 

 

 

 

 

 

 

 

 

 

 

 

 

 

 

 

 

 

 

 

 

 

 

 

 

 

 

 

 

 

 

 

 

 

 

 

 

 

 

 

 

 

 

 

 

 

 

 

 

 

 

 

 

 

 

 

 

 

 

 

 

 

 

 

 

 

 

 

 

 

 

 

 

 

 

 

 

 

'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  (0) 2008.04.17
꼬뜰  (0) 2008.04.16
갈대  (0) 2007.12.11
가을-28 생강  (0) 2007.11.06
가을-27 국화와 포도  (0) 2007.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