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에는 지금 무슨 일들이 벌어지고 있나
- 어떤 집들이 지어지고 있나.
사진에서처럼 멀리서나마 거칠게 함 구경해보자
<위 사진 : 상하이 진마오 타워>
표지 목차
-베이징
-광저우(홍콩 옆)
-홍콩
-쿠알라룸푸르
-서울
-상하이
-싱가포르
-타이페이
-도꾜 순
<도쿄- O -HOUSE>
먼저 중국
그 큰 땅덩어리가 온통 이판사판공사판이다.
베이징올림픽을 기화로 중화문명을 만천하에 떨치려는지
제3국 에너지 자원을 싹쓸이 하듯 전 세계 철근소비의 40%로
고철값이 천정부지로 솟기도 했다. 무엇이든 들어가면 형체도 없이 녹아
다 동화된다는 그 옛날 그들의 저력이 되살아나는듯해 숫제 무섭기도 하다.
명칭 : 베이징공항
설계 : 노먼 포스터(UK)
준공 : 2007년
면적 : 300,000여평 (인천공항의 4배)
명칭 : 베이징-자동차엑스포전시장
설계 : HENN
준공 : 2007년
면적 : 13,000여평
명칭 : 베이징-국영방송 CCTV본사
설계 : OMA
준공 : 2008년
면적 : 170,000여평 (63빌딩의 약3배)
기둥없는 상부구조, 규모가 모두 압권이다.
명칭 : 베이징-국립경기장 -올림픽 주 경기장
설계 : HERZOG& DE MEURON
준공 : 2007년
면적 : 78,000여평
명칭 : 베이징 -국립극장
설계 : PAUL ANDREU
준공 : 2006년
면적 : 45,000여평 물위에 뜬 궁전? -서울오페라 하우스 -계획-과 대비
명칭 : 광저우 -경기장
설계 : PAUL ANDREU
준공 : 2001년
면적 : 33,000여평 조가비
명칭 : 광저우 -오페라하우스
설계 : ZAHA HADID
준공 : 2007년
면적 : 21,000여평. 이라크 출신 여류 건축가. 정형화하지 않은 객석-이미 오래
명칭 : 광저우 -TV 및 전망탑
설계 : OVE ARUP
준공 : 2009년
면적 : 34,000여평
높이 : 610M 구조기술의 극치
명칭 : 홍콩 -국제상공센터
설계 : KPF
준공 : 2010년
면적 : 82,000여평
높이 : 484M
명칭 : 홍콩 -국제금융센터
설계 : CESAR PELLI
준공 : 2003년
면적 : 60,000여평
높이 : M
명칭 : 홍콩 -서구룡 문화거리 개발
설계 : 노먼포스터 (UK)
준공 : 2011년
면적 : 40헥타르
명칭 : 쿠알라룸푸르 -MENARA 텔레콤
설계 : HIJJAS KASTURI
준공 : 2001년
면적 : 평
높이 : 310M 형태가 대나무 죽순 차용
명칭 : 서울 -부띠크 모나코
설계 : MINSUK CHO
준공 : 2008년
면적 : 17,000여평
이외 서울의 건축물로 테헤란로 동부금융센터(KPF설계)
인천공항(TERRY FARRELL설계)가 실려 있다.
명칭 : 상하이 -진마오 타워
설계 : SOM (USA)
준공 : 1998년
면적 : 85,000여평
높이 : 88층 - 첫 사진의 건물
명칭 : 상하이 -오리엔탈 아트센터
설계 : PAUL ANDREU
준공 : 2004년
면적 : 12,000여평
명칭 : 상하이 -QI ZHONG 국제테니스 센터
설계 : MITSURU SENDA AND EDI
준공 : 2005년
면적 : 27,000여평
명칭 : 상하이 -세계금융센터
설계 : KPF
준공 : 2008년
면적 : 114,000여평
높이 : 494M
위의 사각형빈공간이 원래 원형이었으나 일장기의 상징이라 중국의 반대로
설계가 사각형으로 바뀌었다. -건축주 일본인.
명칭 : 상하이 -트모로우 스퀘어빌딩
설계 : 존 포트만
준공 : 2003년
면적 : 30,000여평
높이 :285M
명칭 : 싱가포르 -ASSYAFAAH MOSQUE
설계 : FORUM
준공 : 2005년
회교사원의 현대적 해석?
명칭 : 싱가포르 -THE ESPLANADES
설계 : MICHAEL WILFORD
준공 : 2002년
면적 : 37,000여평
에스파뇰 문화센터 애칭 SHINING STAR
명칭 : 싱가포르 -엑스포 MRT 역사
설계 : 노먼 포스터
준공 : 2001년
명칭 : 싱가포르 -THE SAIL @ MARINA BAY
설계 : PETER PRAN
준공 : 2009년
명칭 : 타이페이 -TAIPEI101
설계 : C.Y.LEE
준공 : 2004년
면적 : 125,000여평
층수 : 이름에서 말해주듯 101층
세계 고층건물 높이경쟁에서 3일천하.
세계에서 가장 강한 지진대 위에 세워진 911테러도 견딜 수 있도록 지어진 건물
명칭 : 도꾜 -MAISON HERMES
설계 : 렌죠 피아노 -간사이공항도 설계
준공 : 2001년
면적 : 2,000여평 13층
중국 동남아 도시와 달리 이미 건축경기의 정체 침체기를 걷는
동경의 건물은 규모나 높이보다 보다 정제된 건축언어? (美? 개성)를 말하고 있다.
그런 의미로 우리나라 건축경기도 이미 침체기-_-.
명칭 : 도꾜 -아오야마 프라다 EPI센터
설계 : HERZOG & DE MEURON
준공 : 2003년
면적 : 900평
명칭 : 도꾜 -TOD'S
설계 : TOYO ITO
준공 : 2004년
면적 : ? 평 7층 구조가 참 특이하고 아름답다.
이러한 아시아 고도 성장기를 배경으로 세계건축의 주류를 아시아에서 다 볼 수 있으며
중동의 두바이, 인도가 빠졌지만 -서구의 도시들은 이미 다 늙었다.-
세계적 건축가들의 각축장, 경연장이기도 하다.
자세히보면 한 사람-한 회사 이름이 여러번 나오는걸 볼수있는데, 우리나라 사람
이름은? 물론 건축의 좋고 나쁨, 양부를 결코 그 크기로, 규모로 따질순 없지만~
-어쨌든 이 책의 표지모델은 세인의 이목을 끄는 멋쟁이 슈퍼톨빌딩이 아닌
동경의 채 30평도 안되는 한주택(O-HOUSE)이다. -두번째 사진
이상
건물은 누가 콜렉션한지 모르겠고, 목차사진에서처럼 PRESTEL출판사 간
뮌헨 베를린 런던 뉴욕 발행 -최근 짓고 있는 아시아 건축소개 책자에서.
(아는 이가 설계한 건물이 이 책에 실렸다 출판사로부터 몇 권 받은걸
기념으로 주어(내 분야는 내가^) 소장. 대체적 파악, 눈요기로 소개.)